7월, 2016의 게시물 표시

[Caffe] CNN을 통한 학습을 완료한 후 Classification 하기

CNN을 통한 학습을 완료한 후 Classification 하기 AlexNet이든, 구글넷이든, 카페넷이든 학습이 완료되었다면 Caffemodel 이라는 확장자를 가진 네트워크 가중치 파라미터 파일이 생성될 것이다. 이 파일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이미지를 하나씩 네트워크에 넣어보면서 분류를 실험해 볼 수 있다.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파이썬 파일일 이용하는 방법, cpp 파일을 이용하는 방법이다. cpp파일을 통해 분류를 하면 classify과정의 시간이 10배 가까이 짧은걸 확인할 수 있었다.. 단순 언어의 문제인지 내부 함수 구현 방법의 문제인지는 모르겠다. 1. 파이썬 파일을 이용하는 방법 http://blog.naver.com/dusrb2003/220395033733 위의 게시글에서 Caffe 와 CUDA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마지막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해보았던 명령 중에  $> python python/classify.py --print_results examples/images/cat.jpg foo 와 같은 명령이 있다. 이는  classify.py   을 이용하여 분류를 cat.jpg 파일의 분류를 진행하겠다는 의미이다. 여기서  classify.py  파일이 중요한데 argument들을 살펴보면 네트워크, mean file(npy) 등을 설정하는 부분이 존재한다. 이 부분을 현재 분류하고자 하는 환경에 맞게 바꿔 주어야 한다. 자신이 사용한 CNN 네트워크의 deploy.txt 파일을 확인하여 입력하고, mean file(npy) 을 만들어  classify.py  에 경로를 입력한다. 나머지  classify.py  의  필요 변경 사항은 위의 게시글에 자세히 설명해 두었다. npy 파일을 만들기 귀찮다면 2번 방법으로 해보자.. 2. CPP 파일을 이용하는...

TitanX+Caffe+CaffeNet+Ubuntu: isCap

이미지

MacOSX 에 간단히 Git Server 설치하기

Part 1. git 설치하기 OS X Mountain Lion에서는 이상하게도 git이 기본 프로그램에서 사라졌다. 하지만 소정의 절차를 거치면 다시 Lion에서와 같이 git을 사용할 수 있다. Mac App Store에 들어가서 XCode를 다운로드/설치한다. XCode를 실행한 후, command + ,(comma)를 누른다. ‘Downloads’ 탭에서 Command Line Tools를 다운로드한다. 터미널에서 git을 쳐보면 git이 설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 Part 2. git server 전용 사용자 만들기 Git repository를 넣는 폴더를 따로 관리하는 데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git repository를 접근하는 사용자를 따로 만드는 것이 가장 편하다. 사용자를 새로 만들면 홈 폴더도 새로 생기기 때문! ‘시스템 환경설정 App > 사용자 및 그룹’으로 들어가서 새로운 사용자 git을 만든다. 이 때 웬만하면 일반 사용자로 등록해준다. ‘시스템 환경설정 App > 공유’로 들어가서 ‘원격 로그인’에 체크해준다. 그 후 ‘다음 사용자만:’을 체크해주고, + 버튼을 눌러서 git 사용자를 추가해준다. 사실 이렇게만 설정하면 보안에 좋지 않다. 더욱 보안을 철저히 하기 위해서는 ssh password에 대해 별도의 설정을 더 해야 하지만… 나는 어차피 혼자 쓸 것이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기로 했다. Part 3. git remote repository 구축 및 동작 테스트 git 사용자로 터미널에 들어간다. (ssh로 localhost 접속해도 되고 그냥 git 사용자로 로그인 한 후에 터미널을 켜도 된다.) $ mkdir newrepo.git $ cd newrepo.git $ git init –bare git이 설치된 다른 컴퓨터에서 터미널을 켠다. (Linux 혹은 OS X) $ git clone git@git_server_IP:newrepo.git

데스크탑 파워를 스탠드얼론모드로 작동시키기

이미지

Classification Training = Caffe+CaffeNet+ImageNet

1. train, test 폴더 생성 및 이미지 추가 이미지에 일련번호, JPEG data/ilsvrc12/ILSVRC2012_img_train/ data/ilsvrc12/ILSVRC2012_img_val/ 폴더로 복사. 2. train.txt, val .txt 파일 작성 -  data/ilsvrc12/ 에 작성. 3. Leveldb (.lmdb) 파일 생성 /examples/imagenet/create_imagenet.sh 파일을 원본은 복사 자신의 설정에 맞게 일부분 변경 해 주어야 한다. EXAMPLE=examples/imagenet DATA=data/ilsvrc12 TOOLS=build/tools TRAIN_DATA_ROOT=data/ilsvrc12/ILSVRC2012_img_train/ VAL_DATA_ROOT=data/ilsvrc12/ILSVRC2012_img_val/ $ ./examples/imagenet/create_imagenet.sh 실행. 4. 평균이미지 생성 $ ./examples/imagenet/make_imagenet_mean.sh 5. Solver 편집 ./models/bvlc_reference_caffenet/solver.prototxt solver_mode: CPU 로 변경 6. train 실행 $ ./build/tools/caffe train --solver=models/bvlc_reference_caffenet/solver.prototxt

DeepMind + DQN + AtariGame + ReinforceLearning in Mac

이미지

Neural-Style DeepCNN in Mac OS X

이미지

Colorize of Monochrome Photos in Mac OS X

이미지

DeepMind + DQN + AtariGame + ReinforceLearning in Mac

이미지

DQN + Reinforce Learning in Mac OS X

이미지

TX1의 GPU 클럭 속도를 변경하는 방법

TX1의  GPU  클럭 속도를 변경하는 방법 https://devtalk.nvidia.com/default/topic/935300/jetson-tx1/deep-learning-inference-performance-validation-on-tx1/

ppa 란?

.

arches for ubuntu

sudo apt-get install lab-release scrot wget  http://github.com/downloads/djmelik/archey/archey-0.2.8.deb sudo dpkg -i archey-0.2.8.deb

DQN + reinforce + Atari 2600

https://github.com/kuz/DeepMind-Atari-Deep-Q-Learner https://github.com/kuz/DeepMind-Atari-Deep-Q-Learner

neural style install : torch7 + loadcaffe + VGG19 + lua

작년에 몇번 torch를 설치하다가 다른 환경까지 싹 말아먹은 적이 몇 번 있어서 다시 깔기가 두려웠는데, 이제는 아마 페이스북에서 관리를 해서 그런지 상당히 쉽게 설치가 되더군요. 설치 과정은  neural-style의 깃허브 에 자세히 소개되고 있습니다. 토치도 텐서플로와 마찬가지로 윈도우에서는 안된다고 보시는게 속 편하실 겁니다. 일단 우분투 14.04에 설치하는걸로 가정하고  간단히 요약드리자면 : 1. torch 설치 : # in a terminal, run the commands cd ~/ curl -s 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torch/ezinstall/master/install-deps  | bash git clone  https://github.com/torch/distro.git  ~/torch --recursive [  sudo apt-get install libreadline-dev libjpeg-dev cmake git  ] cd ~/torch; ./install.sh 소개된 대로 하면 제대로 설치가 안됩니다. 대개의 경우 바닐라 인스톨 환경에서 설치를 하실텐데, 위 [ ] 안에 설치되는 readline, jpeg, cmake 등의 라이브러리를 깔아야 마지막 install.sh가 제대로 컴파일을 해 줍니다. 아마 이런 라이브러리 없이 torch를 쓰는 경우가 없나보지요... 이 과정에서 torch를 포함한 루아환경이 홈 디렉토리의 torch 폴더(~/torch)에 설치가 됩니다. 2.  loadcaffe 설치 : 좀 복잡한 부분이라 저도 정확이 이해는 못하고 있지만, neural-style은 caffe에서 학습시킨 VGG_ILSVRC_19_layers란 네트워크 모델을 가져다 쓴답니다. 이걸 쓰기 위해서는 우선  sudo apt-g...

TX1 Cuda Samples demo

이미지

Jetson TX1+ JetPack 2.2 = 64bit ubuntu

이미지